-
테더(USDT) 코인(2)블록체인/암호화폐 2022. 2. 10. 15:47
시장 위험 사례
USDT를 USD의 가치에 1:1로 패깅하기 위해 USD를 담보화 하는 방법에는 시장의 여러 리스크들이 존재합니다.
USDT의 가치를 지켜주는 담보물의 가치가 하락으로 향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이유에는 중앙화된 담보물의 관리로 인한 담보가치의 상실위험성 등이 있습니다. 총 암호화폐가치보다 작아진 담보물은 USDT시스템을 부실화하게 만들고 사람들의 신뢰를 무너뜨리게됩니다. 비트파이넥스의 관리인은 이러한 일이 일어나기 전에 USDT패깅의 하락을 막아야만합니다. 1달러의 패깅이 무너지면 이를 올리기위해 테더리미티드가 보관하고 있는 담보자산을 청산하여 USDT의 가치를 끌어올려 1달러 패깅을 지원하게 됩니다. 이러한 활동을 전통적인 금융권에서 사용되는 훌륭한 방벙입니다. 하지만 금융위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청산이 빠르게 진행되어 패깅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기가 힘들어지기도 하고 이는 손해로 연결될 수 도 있습니다. 그러나 암호화폐시장은 변동성이 크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어야하고 이러한 문제점이 축소되기 위해서는 더많은 유동성이 제공되어야 하며 암호화폐 산업의 성장으로 이러한 지원이 이루어지길 기대해야합니다. 현재로써는 1달러패깅을 위한 암호화폐의 역할로써 위험부담이 가장적은 백업/고정자산가격 프로세스를 통해 암호화폐 산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완벽한 안정성이라고 보긴 힘들며 시간이가면서 접근법을 계속 발전시키고 암호화폐 시장이 성숙해지며 얻어지는 이점들을 통합하여 사용자들의 USDT사용 편의성을 높여갈 것입니다.
법률 및 규정 준수
Tether Limited는 홍콩에서 설립된 유한회사 입니다. Tether Holdings가 소유하고 있으며 미국 금융범죄단속망에 금융서비스 사업자로써 등록되어 있습니다. 미국에서 테더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국의 금융기관과 주계야기관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체결회사는 “RenRenBee”는 홍콩 관세소비국으로부터 화폐서비스 운영자로써 면허를 받았으며 자금세탁 방지 규정 준수 작업을 제공 합니다. 테더는 고개실사 절차 등의 절차를 통해 고객들의 데이터를 보관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부분은 100% 안전을 보장하는 것임 아님을 인지하고 적절한 리스크 배분 고민을 통해 투자 진해을 하시기 바랍니다.
기존 피아트페깅 시스템의 한계
시스템은 비공개 중앙 집중식 데이터 베이스에서 실행되는 외부의 감시나 오픈소를 통해 수행되는 암호화폐가 아닌 페쇄된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paypal같은 기존의 소매/기관에서 관리하는 자산들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기존 금융권의 파생상품 기법을 이용하여 유지되는 암호화자산으로써 자산의 유동성, 효율성, 헤징에 의존하는 페깅프로세스 등 기초자산의 담보화에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알트코인이나 비트코인과 같은 여타 암호화페 블록체인 생태계를 모방하여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이것의 가치와 상관없이 기반은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작동하게됩니다.
'블록체인 >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레이튼 코인 (6) 2022.02.12 Avalanche platform 백서 (12) 2022.02.11 테더(USDT) 코인(1) (0) 2022.02.08 코스모스(cosmos) 백서(3) (4) 2022.02.08 코스모스(cosmos) 백서(2) (0) 202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