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라 루나(LUNA) 백서(1)블록체인/암호화폐 2022. 2. 6. 16:16
테라의 탄생배경
2009년 비트코인의 탄생이후 중앙정부에서 컨트롤 되는 화폐의 역할을 비트코인을 통해 사용함으로써 화폐가치 하락에 대한 방어 및 자신의 사유재산의 대한 가치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많은 논의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극심한 가격변동성으로 인해 하나의 물건을 구매하기 위해서 방금전가지 0.1btc에 구매할 수 있는 물건이 1시간 뒤에는 0.2btc에 구매할 수 있다고 한다면 사람들은 실생활에서 이것을 화폐로 사용하기엔 무리가 있다는 생각에 합의하였습니다. btc이후 수많은 암호화폐들이 생겨나기 시작했지만 마찬가지로 가격의 변동성은 화폐로써의 기능을 하기 힘들어 사람들의 실제생활에 암호화폐가 깊숙히 들어가는데 대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습니다.
이후 2017년 비트파이넥스에서 만든 usdt의 탄생은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달러기반의 스테이블 코인을 활용해 따로 현금화를 통해 자신의 암호자산을 보관할 필요가 없게 만들어 줬고 암호화폐산업에서 처음으로 실물화폐와 동일한 가치를 유지하는 첫 자산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usdt는 1달러의 실제 화페를 비트파이넥스에 맡기고 그에 상응 하는 가치를 가진 1usdt라는 암호화폐를 발행받는 방식으로 비트파이넥스라는 중앙화된 기관의 상황에 따라 usdt자산의 운명이 좌지우지되는 상황이었습니다. 탈중앙화를 표방하는 암호화폐 산업에서 이러한 중앙화방식의 자산은 세계경제나 정치상황 등에 의한 위협을 받을 상황이 생길 수 있었고 사람들은 이러한 중앙화방식에 대한 우려를 표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USDT의 사용은 단순 암화화자산을 현금화하는 대신 USDT라는 암호화자산으로 잠시 보관하는 용도로써의 활용성을 가지고 있을뿐 실제 우리생활에서 소비하는 활동에선 크게 영향을 미치는 자산은 아니었습니다.
테라는 실생활에서 가치를 주는 블록체인으로써의 역할을 하기위해 태어났습니다. 단순히 암호화폐의 기술적인 우위성만을 내세워 발전하려고 하기보단 실제 사람들이 암호화폐를 통해 가치를 느끼고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환경을 만들고 싶었던 것입니다.
테라의 작동방식
테라는 UST 스테이블코인을 탈중앙화된 상태로 1달라의 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USDT와같이 1달러의 실제 담보물을 기반으로 탄생된 스테이블 코인들과 달리 LUNA라는 코인의 담보가치를 활용하여 UST의 1달라 패깅을 탈중앙화된 상태로 유지하여 사람들이 안정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LUNA코인과 UST의 상관관계 때문에 유지될 수 있습니다.
테라의 검증인들은 LUNA코인을 가지고 채굴작업을 진행하며 테라 블록체인을 유지하는데 여기서 UST의가치는 항상 1달러의 가격을 가지게 됩니다. 거래소나 DEX같은 세컨더리 마켓의 가격은 수요 공급에 의해 가격이 결정될 것이고 UST의 가격이 만약 1달러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차익거래자들에 의해 UST를 세컨더리마켓에서 1달러 이하에 사들여 다시 테라온체인에서 1UST가치의 LUNA를 구매 후 다시 세컨더리 마켓에 LUNA를 팔아 차익을 취하게 됩니다. 이로인해 UST에 대한 수요는 늘어나 다시 가격이 올라가면서 1달러 가치로 맞춰지고 LUNA는 매도물량이 늘어나며 가격의 하락이 발생합니다.
그럼 테라검증인들은 이렇나 가격하락의 위험을 온전히 견디면서 왜 검증인으로써 활동을 하며 UST의 가치를 지켜주는지 의문이 드실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차익거래자들의 거래활동은 온체인 거래량을 증가시키고 여기서 발생하는 수수료는 검증인들의 몫으로 돌아가 이익을 취할 수 있기때문입니다. 또한 UST의 사용이 늘어나 1달러 이상의 가격 상승이 발생한다면 위의 사례와 반대경우가 발생하여 LUNA의 가격상승으로 인한 이득을 취할 수 도 있게됩니다. 이를 통해 단순 중앙화된 기관의 담보가 아닌 탕중앙화된 검증인 생테계를 통해 UST의 가치를 1달러에 맞춰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편안하고 가치있는 암호화폐의 사용을 독려할 수 있게 됩니다.
'블록체인 >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더(USDT) 코인(1) (0) 2022.02.08 코스모스(cosmos) 백서(3) (4) 2022.02.08 코스모스(cosmos) 백서(2) (0) 2022.02.07 코스모스(cosmos) 백서(1) (0) 2022.02.07 테라 루나(LUNA) 백서(2) (0) 2022.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