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코스모스(cosmos) 백서(1)
    블록체인/암호화폐 2022. 2. 7. 20:58

    코스모스란

    비트코인을 통해 나온 블록체인 생테계를 통해 사람들은 분산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해 사회 경제적 인프라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더리움을 통해 탄생한 스마트 계약 플랫폼 위에서 수많은 분산 운영 프로그램을 보았고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같은 쉽게 투자를 유치해 같은 생각과 사업성을 가진 방향을 추구할 수 있는 혁신적 생태계가 마련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블록체인 환경에선 비효율적인 환경이 존재하고 미성숙한 거버넌스 매커니즘과 생태계별로 가진 특성들로 인한 제한된 확장성 등의 문제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Segregated-Witness 같은 트랜잭션 처리량을 확장하기 위한 제안은 완전한 감사 가능성의 속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단일 물리적 시스템의 용량으로 제한되는 수직적 확장 솔루션입니다. 또다른 비트코인의 확장성인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일부거래를 온체인 밖에서 돌아가게 하여 거래량을 빠르게 확장시켜 소액결제 및 개인정보 보호에는 적합하나 일반적인 확장 요구에 적합하진 않을 수 있습니다. 이상적인 솔루션은 보안 속성을 유지하면서 각 블록체인 생테계들이 상호 운용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POW방식보단 POS방식에서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COSMOS는 각 독립 블록체인들의 상호 운용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코스모스의 첫 번째 모습은 코스모스 허브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가 적응하고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간단한 거버넌스 메커니즘을 갖춘 다중 자산 지분 증명 암호화폐입니다.  코스모스 네트워크의 허브와 영역은 블록체인용 가상 UDP 또는 TCP의 일종인 IBC(블록체인 간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서로 통신합니다. 토큰은 영역 간에 유동성을 교환할 필요 없이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안전하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대신 모든 영역 간 토큰 전송은 각 영역이 보유한 토큰의 총량을 추적하는 코스모스 허브를 거칩니다. 허브는 각 영역을 다른 영역의 장애로부터 격리합니다. 누구나 새로운 영역을 코스모스 허브에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영역은 새로운 블록체인 혁신과의 미래 호환성을 허용합니다.

     

     

    텐더민트(1)

    Tendermint 합의 프로토콜과 이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에 대해 설명합니다. 

    검증자

    고전적인 비잔틴 결함 허용(BFT) 알고리즘에서 각 노드는 동일한 가중치를 갖습니다. 텐더민트에서 노드는 음이 아닌 양의 투표권 을 가지며, 긍정적인 투표권을 가진 노드를 검증 자라고 합니다. 검증인 은 다음 블록에 동의하기 위해 암호화 서명 또는 투표를 브로드캐스트하여 합의 프로토콜에 참여합니다. 검증인의 투표권은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제네시스에서 결정되거나 블록체인에 의해 결정적으로 변경됩니다. 예를 들어, 코스모스 허브와 같은 지분 증명 애플리케이션에서 보팅 파워는 담보된 스테이킹 토큰의 양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의견일치

    Tendermint는 DLS 합의 알고리즘에서 파생된 부분적으로 동기식 BFT 합의 프로토콜 입니다. 프로토콜에는 알려진 고정된 검증인 세트가 필요하며, 여기서 각 검증인은 공개 키로 식별됩니다. 검증인은 한 번에 한 블록에 대해 합의를 시도합니다. 여기서 블록은 거래 목록입니다. 블록에 대한 합의 투표는 라운드로 진행됩니다. 각 라운드에는 블록을 제안하는 라운드 리더 또는 제안자가 있습니다. 그런 다음 검증인은 제안된 블록을 수락할지 아니면 다음 라운드로 넘어갈지에 대해 단계적으로 투표합니다. 라운드 제안자는 투표권에 비례하여 정렬된 검증인 목록에서 결정적으로 선택됩니다.

     

     

    '블록체인 >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더(USDT) 코인(1)  (0) 2022.02.08
    코스모스(cosmos) 백서(3)  (4) 2022.02.08
    코스모스(cosmos) 백서(2)  (0) 2022.02.07
    테라 루나(LUNA) 백서(2)  (0) 2022.02.06
    테라 루나(LUNA) 백서(1)  (0) 2022.02.06

    댓글

Designed by Tistory.